코인데일리넷

가상화폐 / NFT / 경제

기타 85

[DAY5]전송계층 프로토콜 개념 정리

전송계층 (end to end) -네트워크에서 송신 호스트 프로세스와 수신 호스트 프로세스 간의 통신을 규정 (양 끝단 호스트 간의 연결 설정 방법을 규정) 전송계층의 기능 1.흐름제어 : 슬라이딩 윈도우 (송신호스트가 보낼 수 있는 패킷 수를 제어) 2.오류제어 : 예를들어 3번패킷에서 에러 발생시 - Selective ARQ (오류가 생긴 3번 패킷만 다시보냄) - Go back N ARQ( 3번 이후를 다 다시보냄) - Stop and Wait ARQ( 하나씩 보내고 확인) 3. 분할과 병합 분할 : 데이터를 적합한 크기로 나누는 과정 (송신 측) 병합 : 데이터를 결합 시키는 과정 (수신 측) 4. 서비스 프리미티브 : 전송계층 사용자가 전송계층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연결형, 비연결..

기타 2021.09.26

[DAY5] DNS, DHCP 개념정리

주소변환 프로토콜의 기능 -인식하기 쉬운 문자 도메인과 IP 주소를 매핑 시켜 사용자의 도메인 사용을통한 편의성 제공 주소변환 프로토콜의 필요성 -IPv4, IPv6는 숫자로 되어 있어서 IP주소를 매번 외우기가 힘들어 설정하는게 어렵다 데이터 링크 계층 (MAC주소, 물리적주소) 네트워크 계층 (IP주소, 논리적 주소) 전송 계층 (포트번호) 1.DNS 시스템 = 도메인(문자)를 입력하면 해당 IP주소를 찾아서 변환해주는 주소 변환기능 시스템 DNS의 구조) -계층적 구조, 네이밍에 대한 책임을 분산 -DNS트리 내의 각 노드들은 도메인 이름을 가짐 -네임공간 정보는 DNS 서버에 분산되고 각 서버는 해당 영역의 관할권을 가짐 ex) www.koreatech.ac.kr www = 호스트(웹 서버) 서브..

기타 2021.09.26

[DAY4] 기본 라우터 설정 명령어

L7 : HTTP, FTP : 서버 L3 : 네트워크 계층 : IP : 라우터 L2 : 데이터 링크 계층 : MAC : 스위치 L2 스위치, L3 스위치 Defalut GateWay : 1 or 254 설정 시스코 장비 모드 (3가지) router> 설정모드 router# configure terminal router(config)# exit 라우터 이름 변경 - 설정모드 router(config)# hostname R1 R1(config)# 암호 설정 콘솔 접속 - user mode 사용자 모드 router(config)# line console 0 router(config-line)# password cisco router(config-line)# login router(config-line)# ex..

기타 2021.09.23

[DAY3]인터넷 계층의 프로토콜 (ICMP, IGMP, ARP, RARP)

인터넷 계층의 보조 프로토콜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 icmp ) 의 필요성 -ip는 비연결형으로 오류보고와 오류수정 기능이 없음 -호스트와 관리자를 위한 매커니즘이 없음 즉, 호스트와 관리자를 위해 필요한 것을 보완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호스트 = 라우터나 다른 호스트의 동작 여부 확인 필요 관리자 = 다른호스트나 라우터로부터의 정보획득이 필요 ICMP는 IP의 보조기능을 수행 ! ICMP는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이다. 직접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데이터를 전달하지않고 메시지는 IP 데이터그램에 캡슐화됨 (IP를 통해서 데이터를 전달, 3계층이긴하지만 약간애매한 포지션 3.5계층? ) 네트워크 오류보고, 진단 ip헤더의 프로토콜 번호 : 1번 ICMP 헤더 : 8바이트 ICMP 필드 값 -Type ..

기타/1 2021.09.22

[DAY3] OSI 7계층, TCP/IP 4계층

OSI 7계층 모든 종류의 컴퓨터 시스템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계층구조 1.물리계층 : 네트워크에서 두 시스템간의 물리적 연결을 위한 프로토콜 을 규정 -어느 회선이 전원선,접지신호선 인지 규정 -비트스트림을 어떤 형태로 표현하여 전송할 것인지 등을 정의 -리피터,허브 2.데이터링크 계층: 링크 상에서 어떻게 데이터를 잘 주고 받을것인가를 규정 -링크 상에서의 프레임 구조, 오류 제어, 흐름 제어, 동기화 등을 규정 -접근제어 *링크 : 노드와 노드를 연결한 논리적회선 *논리적회선 : 물리적회선이 아니라 시간 분할 등으로 다르게 구분할 수 있는 회선 3.네트워크 계층 : 수신 측 주소를 가지고 경로 설정 (목적지를 찾아감) - 송신측에서 패킷을 구성 수신측에서 패킷을 분해 -송신 측 및 수신측의 논..

기타 2021.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