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송계층 (end to end)
-네트워크에서 송신 호스트 프로세스와 수신 호스트 프로세스 간의 통신을 규정
(양 끝단 호스트 간의 연결 설정 방법을 규정)
전송계층의 기능
1.흐름제어 : 슬라이딩 윈도우 (송신호스트가 보낼 수 있는 패킷 수를 제어)
2.오류제어 : 예를들어 3번패킷에서 에러 발생시
- Selective ARQ (오류가 생긴 3번 패킷만 다시보냄)
- Go back N ARQ( 3번 이후를 다 다시보냄)
- Stop and Wait ARQ( 하나씩 보내고 확인)
3. 분할과 병합
분할 : 데이터를 적합한 크기로 나누는 과정 (송신 측)
병합 : 데이터를 결합 시키는 과정 (수신 측)
4. 서비스 프리미티브 : 전송계층 사용자가 전송계층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연결형, 비연결형)
5. 주소표현
*포트번호 = 통신 프로세스를 구별하는 번호
잘 알려진 포트 : 1~1023
임의포트 : 1024~65536
소켓 : Ip주소 + 포트번호
전송계층 프로토콜
1.TCP : 연결형 프로토콜
- 양방향통신을 하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다
2.UDP : 비연결형 프로토콜
- 비교적 신뢰성은 떨어지지만 전송속도가 빠르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y10] 라우터, 디폴트정적경로, 트러블 슈팅 (0) | 2021.10.01 |
---|---|
[DAY 6] 리눅스 (Cent OS) 실습환경 구축 순서 (0) | 2021.09.27 |
[DAY5] DNS, DHCP 개념정리 (0) | 2021.09.26 |
[DAY4] 기본 라우터 설정 명령어 (0) | 2021.09.23 |
[DAY3] OSI 7계층, TCP/IP 4계층 (0) | 2021.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