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데일리넷

가상화폐 / NFT / 경제

분류 전체보기 94

[DAY4] 기본 라우터 설정 명령어

L7 : HTTP, FTP : 서버 L3 : 네트워크 계층 : IP : 라우터 L2 : 데이터 링크 계층 : MAC : 스위치 L2 스위치, L3 스위치 Defalut GateWay : 1 or 254 설정 시스코 장비 모드 (3가지) router> 설정모드 router# configure terminal router(config)# exit 라우터 이름 변경 - 설정모드 router(config)# hostname R1 R1(config)# 암호 설정 콘솔 접속 - user mode 사용자 모드 router(config)# line console 0 router(config-line)# password cisco router(config-line)# login router(config-line)# ex..

기타 2021.09.23

[DAY3]인터넷 계층의 프로토콜 (ICMP, IGMP, ARP, RARP)

인터넷 계층의 보조 프로토콜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 icmp ) 의 필요성 -ip는 비연결형으로 오류보고와 오류수정 기능이 없음 -호스트와 관리자를 위한 매커니즘이 없음 즉, 호스트와 관리자를 위해 필요한 것을 보완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호스트 = 라우터나 다른 호스트의 동작 여부 확인 필요 관리자 = 다른호스트나 라우터로부터의 정보획득이 필요 ICMP는 IP의 보조기능을 수행 ! ICMP는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이다. 직접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데이터를 전달하지않고 메시지는 IP 데이터그램에 캡슐화됨 (IP를 통해서 데이터를 전달, 3계층이긴하지만 약간애매한 포지션 3.5계층? ) 네트워크 오류보고, 진단 ip헤더의 프로토콜 번호 : 1번 ICMP 헤더 : 8바이트 ICMP 필드 값 -Type ..

기타/1 2021.09.22

[DAY3] OSI 7계층, TCP/IP 4계층

OSI 7계층 모든 종류의 컴퓨터 시스템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계층구조 1.물리계층 : 네트워크에서 두 시스템간의 물리적 연결을 위한 프로토콜 을 규정 -어느 회선이 전원선,접지신호선 인지 규정 -비트스트림을 어떤 형태로 표현하여 전송할 것인지 등을 정의 -리피터,허브 2.데이터링크 계층: 링크 상에서 어떻게 데이터를 잘 주고 받을것인가를 규정 -링크 상에서의 프레임 구조, 오류 제어, 흐름 제어, 동기화 등을 규정 -접근제어 *링크 : 노드와 노드를 연결한 논리적회선 *논리적회선 : 물리적회선이 아니라 시간 분할 등으로 다르게 구분할 수 있는 회선 3.네트워크 계층 : 수신 측 주소를 가지고 경로 설정 (목적지를 찾아감) - 송신측에서 패킷을 구성 수신측에서 패킷을 분해 -송신 측 및 수신측의 논..

기타 2021.09.20

[Day3] 네트워크 구조

전화기 아날로그 전화기 디지털 전화기 전송/교환장비 전화교환기 디지털 전송장비 전송장비 다중화 장비 , 고속 광 전송 장비 --------------------------- 이동통신 네트워크 이동단말, 이동통신 기지국, 이동전화 교환장비, 이동전화 전송장비 인터넷 네트워크 단말장비, 유/무선 중계기, 교환장비, 경로설정장비, 게이트웨이, 전송장비, 네트워크 케이블 ----------------------------- 유선네트워크의 구조 1.스타구조 -중앙제어장치와 점대점으로 연결 -중앙제어장치가 교환 및 관리기능을 담당 장점 : 중앙전송장치와 1:1 연결로 장애 발견 및 유지보수 용이 단점 : 중앙전송장치에 장애 발생 시 전체 네트워크에 장애발생 중앙전송장치와 거리가 먼 단말추가 시 케이블 비용 증가 2..

기타 2021.09.17

[Day3] 네트워크 기본개념_이론학습

라우팅: 네트워크에서 경로를 설정해주는 과정 서버 :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클라이언트 : 서비스를 제공받는 시스템 (고객) 다중화(multiplexing) : 하나의 회선을 시간,주파수, 코드로 나누어 많은데이터를 싣는 것 (송신 측) 역다중화 : 하나의 회선에 다중화 되어 온 데이터를 각 채널 별로 분리 (수신측) 캡슐화 : 데이터에 제어정보를 부가하는 과정 (송신 측) 디캡슐화 : 데이터에 제어정보를 제거하는 과정( 수신 측) 암호화 : 평문을 암호문으로 변경하는 것 (암호화키 사용) 복호화 : 암호문을 평문으로 복구하는것 (복호화키 사용) 대칭키 : 암호화키와 복호화키가 같다 -장점 : 회로가 간단하며, 암호화 및 복호화 속도가 빠르다 -단점 : 키의 전달에서의 보안 취약성, 관리 불편 비대칭키..

기타 2021.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