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통신 네트워크>
전화기
아날로그 전화기
디지털 전화기
전송/교환장비
전화교환기
디지털 전송장비
전송장비
다중화 장비 , 고속 광 전송 장비
---------------------------
이동통신 네트워크
이동단말, 이동통신 기지국, 이동전화 교환장비, 이동전화 전송장비
인터넷 네트워크
단말장비, 유/무선 중계기, 교환장비, 경로설정장비, 게이트웨이, 전송장비, 네트워크 케이블
-----------------------------
유선네트워크의 구조
1.스타구조
-중앙제어장치와 점대점으로 연결
-중앙제어장치가 교환 및 관리기능을 담당
장점 : 중앙전송장치와 1:1 연결로 장애 발견 및 유지보수 용이
단점 : 중앙전송장치에 장애 발생 시 전체 네트워크에 장애발생
중앙전송장치와 거리가 먼 단말추가 시 케이블 비용 증가
2.버스구조
-이더넷(CSMA/CD) 에서 사용
-백본 케이블에 모든장치 연결
장점 : 새로운 노드의 추가 용이
단점 : 케이블 중간에 장애 발생 시 전체 호스트로 전송불가
노드 개수 증가 시 전송 속도 저하 , 부하 증가 시 응답시간이 늦어 짐
3.역 트리 구조
-스타구조와 버스구조를 결합시킨 구조
-각 노드간의 신호의 이동 거리를 증가 시킬 수 있음
장점: 건물의 층내 및 층간 네트워크 구성에 용이
단점: 허브 간의 연결이 끊어지면 하부의 단말은 통신 장애 발생
성능이 큰 스위치를 중심으로 계층적 구성이 가능
4.링 구조
- 2중 링 구성 시 장애에 신뢰성이 상대적으로 높음
5.그물망 구조
-모든 노드를 서로 연결한 구조
장점 : 장애에 대한 신뢰성이 가장 높음
단점 : 구축 시 회선 비용이 많이 듦
총 연결 회선 수 : n(n-1)/2
n=노드수
---------------------------------------------------------------------
무선네트워크 구조
유선LAN 하부구조, 애드 혹 구조
네트워크 서비스 대상에 따른 분류
공중네트워크 (ISP네트워크- KT,LG U+, SKT 등)
사설네트워크 (인트라넷, 가상 LAN)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에 따른분류
PAN<HAN<LAN<MAN<WAN
방< 집< 기업,대학<도시<국가
네트워크 구축 목적에 따른 분류
홈네트워크, 스토리지 데이터 백업 네트워크(SAN),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전력효율 관리)
네트워크 보안 범위에 따른 분류
가상 사설 네트워크 (VPN) : 공중망 통신자원을 활용 기업/기관의 본사와 지사를 사설망으로 구성
가상LAN( VLAN) : 동일한 LAN에서 보안목적, 물리적 제약 해소, 대역폭 사용의 효율성을 위해 가상적으로 구분한 세부 네트워크
--------------------------------------------------
<네트워크 장비 >
리피터 : 물리적인 전송회선의 길이를 연장하는 중계기
허브/공유기 : 물리적 회선을 중계하고 여러 단말을 접속하는 장비
브리지/스위치 : 단말을 접속하고 교환기능을 하는 장비
물리적 주소인 MAC주소로 동작
라우터 : 네트워크에서 경로설정 기능을 하는 장비
게이트웨이 : 이기종 네트워크 간 상호접속 기능을 하는 장비
광 전송장비 : 광대역 데이터를 고속 전송 기능을 하는 장비
무선 인터넷 중계기 : 무선인터넷 접속중계 기능을 하는 장비
------------------------------------
<주요 보안장비>
방화벽
침입탐지시스템
개인정보 암호화 시스템
접근제어 시스템
DLP/DRM 시스템
<케이블>
꼬임선(UTP,STP)
동축케이블
광 케이블(싱글 모드 멀티 모드)
프로토콜
-약속된 규칙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것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Y5]전송계층 프로토콜 개념 정리 (0) | 2021.09.26 |
---|---|
[DAY5] DNS, DHCP 개념정리 (0) | 2021.09.26 |
[DAY4] 기본 라우터 설정 명령어 (0) | 2021.09.23 |
[DAY3] OSI 7계층, TCP/IP 4계층 (0) | 2021.09.20 |
[Day3] 네트워크 기본개념_이론학습 (0) | 2021.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