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P 이란?
스위치에 두개 이상의 경로가 발생할때 프레임이 네트워크 장비들 사이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무한 루프 즉, 브로드캐스트 폭풍이 발생해 루핑이 생긴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문제가 될만한 경로들은 잠시 차단해두었다가 기존 경로가 문제가 생길때만 다시 경로를 열어서 네트워크를 유지시켜주는 것이 바로 스패닝트리프로토콜이다.
동작원리
1.루트 스위치 선택
브리지 id 값이 가장 낮은 것 ( 브리지 ID = 우선순위 + MAC 주소 )
2.루트 스위치 제외 나머지 스위치에서 루프 포트를 한개씩 선택
<선택 시 비교 사항>
경로값의 합이 가장 작은포트
인접 스위치의 브리지 ID가 가장 낮은 포트
인접 스위치의 포트 ID가 가장 낮은 포트
3.세그먼트 당 지정 포트를 한개씩 선택
<선택 시 비교 사항>
경로값의 합이 가장 작은 스위치의 포트
브리지 ID가 가장 낮은 스위치의 포트
포트 ID가 낮은 포트
4.대체포트 차단
'기타 > 1'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비과정] OSPF 개념 정리 , 에어리어, OSPF네트워크 타입 (0) | 2021.11.28 |
---|---|
[국비과정] OSPF개념, 실습으로 쉽게 이해하기 , 네트워크 엔지니어 독학 책 추천 (0) | 2021.11.24 |
[DAY32] NAT 개념 & 실습 (0) | 2021.11.10 |
[DAY 30] OSPF 복습 예제 & 네트워크 접근제어 (0) | 2021.11.04 |
[DAY29] VLAN , 트렁킹 실습예제 (0) | 2021.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