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브, 스위치, 라우터를 구분지어보자

허브의 개념
연결된 모든 장치들에게 데이터를 뿌려주는 장치
허브의 한계점
CSMA/CD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콜리전(충돌)이 발생해 네트워크가 불안정하고 많은 장치들을 연결하는데 제약이 있으며 보안성 또한 떨어진다.
이러한 허브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나온 장치가 스위치
스위치의 개념
허브와 달리 MAC주소를 이용해 원하는 장치에만 데이터를 전송해주는 장치.
콜리전 도메인을 나눌수 있어 콜리전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콜리전 도메인 = 허브에 연결되어 콜리전 발생시 영향을 줄수있는 장치들의 범위
스위치의 한계점
스위치에서 두 개의 이상의 경로가 있으면 프레임이 무한루프 상태에 빠지는 치명적인 상태인 루핑이 발생한다.
그리고 브로드캐스트 영역을 나눠주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는데 브로드캐스트 처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온 장치가
라우터 이다.
*브로드캐스트 문제 = 다른나라에 있는 PC가 재부팅될시 한국까지 패킷이 전송될 수 있는 문제
라우터
네트워크들간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최적인 경로를 제공해주는 장치
브로드캐스트 영역을 나눠줄수 있음
'기타 > 14343243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브넷 마스크란 무엇일까? (0) | 2021.09.02 |
---|---|
IP의 개념, 라우터 에서의 IP, IP 클래스 (0) | 2021.08.31 |
LAN케이블 ( 다이렉트 케이블과 크로스 케이블의 차이 ) (0) | 2021.08.27 |
gliffy로 그려본 소규모 네트워크 구성 및 장비 세팅 방법 (0) | 2021.08.27 |
크롬에서 네트워크 구성도 그리기 ( Gliffy Diagrams ) (0) | 2021.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