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VM이란?
Logical Volume Manager = 논리 하드디스크 관리자
LVM은 여러개로 구성된 하드디스크들을 1개의 파티션으로 구성한 다음 다시 나누는 것이다.
(1개의 하드디스크를 LVM구성 후 다시 구분도 가능)
*개념
물리볼륨 = 파티션
볼륨 그룹 = 물리볼륨을 합쳐서 1개의 물리 그룹으로 만든 것
논리 볼륨 = 볼륨 그룹을 1개 이상으로 나눈 것
RAID와의 차이점
LVM은 RAID보다 관리나 확장이 쉽지만 디스크미러링이나 패리티 스트라이프 방식이 없어서 데이터 무결성을 지키기 힘들다.
LVM 구현
하드디스크 추가  
2G, 3G 
추가후에 부팅 
파티션 설정 
fdisk /dev/sdb  ~ /dev/sdc 
n 
p 
엔터 3번 
t 
L : 타입종류 확인 
8e 선택  : Linux LVM 
w : 저장 
물리적인 볼륨 생성 
pvcreate /dev/sdb1    2G 
pvcreate /dev/sdc1    3G 
볼륨 그룹 으로 묶어 
vgcreate myVG /dev/sdb1 /dev/sdc1     2G+3G = 5G : myVG 
볼륨 그룹 확인 
vgdisplay 
논리적인 볼륨을 생성 
lvcreate --size 1G --name myLG1 myVG 
lvcreate --size 3G --name myLG2 myVG 
lvcreate --extents 100%FREE --name myLG3 myVG 
확인 
ls -l /dev/myVG 
논리적인 볼륨 포멧 
mkfs.ext4 /dev/myVG/myLG1 
mkfs.ext4 /dev/myVG/myLG2 
mkfs.ext4 /dev/myVG/myLG3 
마운트 디렉토리 생성 
mkdir /lvm1 
mkdir /lvm2 
mkdir /lvm3 
마운트 시키기 
mount /dev/myVG/myLG1 /lvm1 
mount /dev/myVG/myLG2 /lvm2 
mount /dev/myVG/myLG3 /lvm3 
마운트 확인

용량 재 설정 
resize2fs /dev/myVG/myLG3 
'기타 > 1432' 카테고리의 다른 글
| [DAY22] CentOS 쿼터, 원격지 관리시스템(텔넷,OpenSSH,VNCSERVER) (0) | 2021.10.25 | 
|---|---|
| [DAY21]Cent OS를 RAID 1에 설치 & 하드디스크 복구절차 /이것이 리눅스다 (0) | 2021.10.23 | 
| [DAY 17]Cent OS 하드디스크 장착 ,RAID 레벨 개념잡기 (0) | 2021.10.18 | 
| DAY13 X윈도우 사용 (0) | 2021.10.12 | 
| [DAY11] 리눅스 시스템작업 예약 CRON (0) | 2021.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