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터란?
- 적절한 경로의 네트워크로 패킷을 전송하는 장치
라우팅 테이블이란?
- 패킷이 목적지, 목적지까지의 거리와 경로 등을 명시한 테이블
정적라우팅이란?
- 관리자가 수동으로 직접 고정 경로 설정
- 작은 네트워크 크기를 가지는 곳에 적합
정적 라우팅을 위한 라우터, pc장치들간 포트설정 및 기본 세팅
1. 각 라우터 모듈 선택 -> Physical클릭
2. 전원 off -> WIC-2T 선택 및 드래그&드롭
3.라우터 장치의 인터페이스에 ip주소 설정. 활성화
라우터 기본 설정 (ip 주소 설정)을 위한 과정 및 명령어
<설정모드>
hostname : 라우터 이름변경
interface fastethernet : 인터페이스 장치명
ip address : IP주소 서브넷마스크 설정
no shutdown : 활성화
<관리자모드>
show ip interface brief : 라우터에 장착된 인터페이스들의 up , down 상태 및 ip주소 확인
라우터 장치의 라우팅 테이블 확인
show ip route
정적라우팅 방법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해서 각 라우터별로 전체 네트워크 영역에서 빠져있는 부분에 대한 네트워크 ip route 네트워크영역, 서브넷마스크, 출구방향 인터페이스 장치명 설정 <-- ( 이 부분이 정적라우팅의 핵심 )
R1의 네트워크 영역 (빨간색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영역)
203.230.7.0/24
203.230.8.0/24
203.230.9.0/24
203.230.10.0/24
203.230.11.0/24
R2의 네트워크 영역
203.230.7.0/24
203.230.8.0/24
203.230.9.0/24
203.230.10.0/24
203.230.11.0/24
R3의 네트워크 영역
203.230.7.0/24
203.230.8.0/24
203.230.9.0/24
203.230.10.0/24
203.230.11.0/24
즉, 라우터별로 빨간색으로 표시한 네트워크 영역만 사용자가 직접 추가해주면 된다.
R1(라우터1) 설정 예시
ip route 네트워크영역주소 + 서브넷마스크 + 시리얼번호 , 명령어로 직접 설정
show ip route 명령어로 설정이 잘들어갔는지 확인해보면 직접설정한 ip 부분은 S라고 표시가 되어있다.
R2와 R3 도 똑같은 방법으로 정적라우팅을 해주면 된다.
결과확인 (Ping 테스트)
pc0에서 pc2로 핑테스트를 해보면 두 pc가 연결된것을 최종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
여기부터는 중간 크기 이상의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방법인 동적라우팅 프로토콜 RIPv1에 대한 설명이다.
RIPv1
(라우터들이 네트워크 정보를 서로 교환해서 자동으로 경로가 지정)
각 라우터별로 연결되어있는 네트워크 영역은 아래와 같고 서로 정보를 교환한다.
R1 R2 R3
203.230.7.0/24 203.230.9.0/24 203.230.8.0/24
203.230.10.0/24 203.230.10.0/24 203.230.11.0/24
203.230.11.0/24 203.230.12.0/24 203.230.12.0/24
각 라우터별로 router rip -> network 명령어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입력해주면 끝
pc2에서 pc3에 연결이 잘되는지 핑테스트
'기타 > 1'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Y8] 시리얼 통신 프로토콜 (0) | 2021.10.01 |
---|---|
[DAY5] 원격접속 프로토콜, 파일전송 프로토콜 개념정리 (0) | 2021.09.26 |
[DAY3]인터넷 계층의 프로토콜 (ICMP, IGMP, ARP, RARP) (0) | 2021.09.22 |
[Day1] IOS CLI 기본 명령어 및 기본세팅 (0) | 2021.09.15 |
[Day1]패킷트레이서 설치 , 사용법, CLI모드 변경 (0) | 2021.09.15 |